서론: 유럽 공조 시장을 향한 삼성·LG전자의 도전
삼성전자와 LG전자가 글로벌 냉난방공조(HVAC) 시장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유럽 최대 냉난방공조 전시회인 ‘ISH 2025’에 참가한다.
이번 전시회는 2025년 3월 17일부터 21일까지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개최되며, 두 기업은 각각 삼성전자(489㎡), LG전자(492㎡) 규모의 대형 부스를 마련하여 최신 기술을 적용한 고효율 히트펌프와 스마트 공조 솔루션을 대거 선보인다.
양사는 유럽의 탄소중립 정책과 친환경 트렌드에 맞춰 자연냉매 적용 제품, 인공지능(AI) 기반의 스마트 공조 시스템, 빌딩 에너지 관리 솔루션 등을 집중적으로 소개하며, 유럽 HVAC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목차
- 삼성전자: AI 기반 공조 시스템과 고효율 히트펌프
- LG전자: 에너지 절감형 히트펌프와 차별화된 공조 솔루션
- 유럽 HVAC 시장 공략 전략
- 결론: 글로벌 HVAC 시장의 미래
- Q&A: 주요 궁금증
- 관련 태그
삼성전자: AI 기반 공조 시스템과 고효율 히트펌프
삼성전자는 ‘슬림핏 클라이밋허브’를 대표 제품으로 내세우며, 고효율 히트펌프 및 스마트 공조 시스템을 공개했다.
- 슬림핏 클라이밋허브: 200L 전용 물탱크가 탑재된 히트펌프로, 7형 터치스크린 기반 ‘AI 홈’ 기능을 적용해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했다. 공간 절약형 600mm 깊이의 디자인으로 빌트인 설치가 용이하다.
- EHS 모노 R290: 자연냉매(R290)를 적용하고, 최대 75도 고온수를 공급하는 히트펌프 시스템으로, 기존 보일러 대비 에너지 효율이 뛰어나며 탄소 배출량을 대폭 줄일 수 있다.
- 비스포크 AI 무풍콤보: 섬세한 습도 센싱 및 AI 자동 제어 기능을 갖춘 최신형 에어컨으로, 사용자 환경에 맞춰 실내 온도를 최적화한다.
- 스마트싱스 프로 & b.IoT 라이트: 호텔, 상업용 공간을 위한 에너지 관리 및 빌딩 통합 제어 솔루션으로, 다양한 공조 기기를 한 번에 관리할 수 있다.
LG전자: 에너지 절감형 히트펌프와 차별화된 공조 솔루션
LG전자는 유럽 주거 환경에 최적화된 ‘써마브이’ 시리즈를 포함한 다양한 HVAC 솔루션을 선보였다.
- 써마브이 R290 모노블럭: 자연냉매(R290)를 적용한 고효율 히트펌프로, 유럽 ErP 에너지등급 A+++를 충족하며 에너지 절감 효과가 뛰어나다.
- 써마브이 모노블럭 G: 다세대 주택을 위한 최적화된 고효율 히트펌프로, 다양한 주거 형태에 적용할 수 있다.
- 인버터 스크롤 칠러: 기존 냉매보다 지구온난화지수(GWP)가 30% 낮은 R32 냉매를 적용한 친환경 냉각 시스템으로, 대형 건물의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다.
- 멀티브이 아이: 고성능 AI 엔진이 탑재된 냉난방 시스템으로, 자동으로 최적의 냉방 세기를 조절해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한다.
유럽 HVAC 시장 공략 전략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유럽 HVAC 시장에서 탄소 저감과 에너지 효율성을 핵심 키워드로 내세우며 시장 확대를 노리고 있다.
- 친환경 냉매 적용: 삼성전자는 R290 냉매, LG전자는 R32 및 R290 냉매를 적용한 제품을 앞세워 유럽의 환경 규제에 적극 대응.
- 스마트 에너지 관리 솔루션: 삼성전자의 스마트싱스 프로 및 LG전자의 AI 기반 공조 시스템을 통해 최적의 에너지 절감 솔루션 제공.
- B2B 시장 확대: 호텔, 대형 빌딩, 상업 시설을 위한 냉난방 시스템을 집중 홍보하며 기업 고객을 적극 공략.
글로벌 HVAC 시장의 미래
HVAC 시장은 탄소중립 정책과 에너지 절감 기조에 따라 히트펌프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으며,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이를 기회로 삼아 시장 점유율 확대를 노리고 있다.
특히, 친환경 냉매 적용과 스마트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앞세워 유럽을 비롯한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Q&A: 주요 궁금증
Q1. 삼성과 LG전자의 HVAC 제품 차이는?
A. 삼성전자는 AI 기반 스마트 제어 시스템과 빌딩 통합 솔루션이 강점이며, LG전자는 고효율 인버터 스크롤 컴프레서를 활용한 에너지 절감 기술이 차별화된 요소다.
Q2. 유럽 HVAC 시장에서 한국 기업의 경쟁력은?
A. 친환경 냉매 적용, AI 기반 스마트 제어 기술, 고효율 히트펌프 등을 앞세워 유럽 시장에서 선두권을 유지하고 있다.
#삼성전자 #LG전자 #ISH2025 #HVAC #히트펌프 #에너지효율 #스마트공조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알파벳) AI 성장 전망 및 주가 분석 (0) | 2025.03.17 |
---|---|
알테오젠, 아스트라제네카와 기술이전 계약 체결…2조+알파 (0) | 2025.03.17 |
아이온큐, 양자컴퓨터 기술 성과 과장 논란…공매도 집중 타깃 (0) | 2025.03.17 |
“쉴드AI 투자자는 한화에어로 아닌 한화자산운용”…시장 혼선 (0) | 2025.03.13 |
엠디바이스, 코스닥 상장 첫날 ‘따블’ 기록! SSD 시장 성장 기대감 (0) | 2025.03.07 |
댓글